군인(장교, 준사관, 부사관)에게 지급되는 복지포인트 최대로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간혹 동기보다 복지포인트를 적게 받았다는 분들도 계셔서 함께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에서 직업 군인 복지포인트 최대로 받는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군인 복지포인트 산출근거
직업 군인들의 복지포인트는 단순히 연차로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근속년수, 배우자, 부양가족수로서 각군의 급여지급기관에 등록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지급됩니다.
개인점수 및 포인트 예시
- 공통점수 = 400점
- 근속점수 = 1년 당 10점(최대 300점)
- 가족점수 = 배우자(150점), 부양가족 1명당 50점
부양가족의 경우 4인 이내 부양가족에 한정하고, 자녀는 인원수에 상관없이 모두 배정됩니다.
분기별로 지급되는 복지포인트 특성상 3개월을 채우지 않으면, 1개월당 33% 삭감된 개인점수가 계산됩니다.
이렇게 최종적으로 개인점수가 나오면 분기별 가용예산에서 대상자를 나누어 복지포인트가 지급됩니다.
군인 복지포인트 최대로 받는법
복지포인트 계산방법을 알아봤으니 이제 최대로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서 알아본 기초자료에는 근속년수, 배우자, 부양가족수 등이 있는데 여기에 추가자료가 있습니다.
바로 단체실비 가입여부, 가족보험 가입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복지포인트 금액이 지난 분기 또는 과거보다 적게 들어왔다면 중복가입 제외가 제대로 처리되어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혼간부 복지포인트 관리
미혼 간부의 경우 단체실비 가입 제외신청을 하면 되는데 이때 개인적으로 실비보험을 가입해있어야 합니다.
쉽게말해 삼성화재와 같은 보험사의 실비보험이 있어야 제외가 가능하고, 보험금만큼 복지포인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기혼간부 복지포인트 관리
기혼 간부의 경우 가족보험 가입여부까지 확인해야하는데 보통 출산을 앞두고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군보험이 출산혜택이 좋다보니 가입하고 해지하는 분들이 있는데 간혹 잊어버리는 분들도 계십니다.
출산 이후에는 해지하고, 원래 가입되어 있던 실비보험만 납입하시면 됩니다.
복지포인트 자주하는 질문
1. 외부 실비보험이 있는데 복지포인트가 남들보다 적게 지급되었습니다.
외부 실비보험에 가입되어 있다고해서 자동으로 단체보험 가입 제외 처리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중복가입제외신청 기간을 이용해서 반드시 군단체보험 가입 상태에서 제외로 본인이 직접 해야 합니다.
2. 복지포인트 지급은 언제 해주나요?
분기별로 지급되는 복지포인트는 매 분기말에 지급됩니다. 1분기의 경우 3월에 지급됩니다.
다만, 4분기는 10월 1일 급여자료를 기준으로 10월 31일에 지급됩니다.
3. 전역(퇴직)하는 경우 군 단체보험은 자동 탈퇴되나요?
네. 자동탈퇴됩니다. 뿐만아니라 해당 분기말까지 보험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분기 전역할 경우 7월 20일 24시까지 보장받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